300x250

뾰로롱~ 안녕하세요. 경제적자유와 조기은퇴를 꿈꾸는 34세 뾰로롱입니다.

5월이 끝나고 벌써 6월의 3일이 다가 오네요. 5월의 두 번째 스토리를 남겨볼까 합니다.

 

 

(파이어족, 경제적자유, 월간보고서) 2020년 5월 월간보고서 배당금 자본가로 가는 길 17.5% 달성

뾰로롱~ 안녕하세요. 경제적자유와 조기은퇴를 꿈꾸는 34세 뾰로롱입니다. ​ 5월이 끝나고 6월이 시작되고 있네요. ​ 기분좋은 5월 배당금도 정리를 해서 올리게 되어 뿌듯뿌듯합니다. ​ 물론

cotbot.tistory.com

 

2020년 5월의 실적을 간단히 살펴 보겠습니다.

수익금이 마이너스인 이유는 매도한 종목이 있고 그 돈으로 매수했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마침내 5월은 음에서 양으로 돌아선 달이 되었네요.

다시 지수 100을 돌파 했습니다. S&P500에는 뒤쳐지고 있지만 참조의 대상일 뿐 전 뾰로롱지수가 다우지수처럼 3만을 돌파하길 기대하고 있어요.ㅋㅋㅋㅋ

기대는 기대일 뿐일지 아닐 지는 30년 뒤에 확인하는 걸로 할게요.

이렇게 그래프로 그려보면 2018년 10월이나 2020년 3월이나 결국은 지나가는 바람과 같아 보여요.

헤어짐은 곧 만남이라 했던가? 누가 그랬을까요? ㅎㅎㅎ 저도 모르겠습니다만..ㅋㅋㅋㅋ 들은 기억이 납니다.

이제 각설하구요.

국내주식과 국내ETF를 먼저 보시면

빨갛게 올라 오는 기업들이 하나 둘 생기는군요.

F&F, NHN한국사이버결제, SK우, 시큐브, SK바이오랜드, KG이니시스, TIGER헬스케어가 많이 올랐는데 공통점은 몇 주 없다는 사실! 똥손의 현실인가 봅니다.

언뜻보면 종목이 많다보니 ETF종목리스트처럼 보이기도 하고 ㅎㅎ 하지만 이래보여도 오를 땐 포트폴리오가 쑥쑥 크네요.

하나의 기업 당 천만원씩 들어가면 어느정도 저의 꿈이 실현 될 듯하구요. 대략 200종목이니까 20억이 들어 가면 마무리가 된다는 허황된 꿈(?)인 듯 하지만 충분히 50세 전에는 가능하리라 믿고 가는 거 그거이 꿈 아니겠습니까? ㅎㅎ

ETF가 은근히 붉은 비율이 더 높네요. 나름 메인으로 이끌고 있는 TIGER200은 플러스로 돌아 섰구요.

ETF만 1000만원이 곧 넘어 서겠어요!!

매달 야금야금 사다 모으니 언제 모으겠냐 싶었는데 월말에 정리해보면 성장하는 모습을 볼 수 있어서 기분도 좋네요.

다음은 미국주식과 미국ETF입니다.

이 동네는 한국보다 더 빨갛게 올라갑니다.

애플(AAPL), 엔비디아(NVDA)가 유독 많이 올랐는데 역시나 똥손!!

많이 안사면 오른다는 진리...

요즘 많이 소홀했던 인도지수추종(INDA)와 유로50추종지수(FEZ), 베트남추종지수(VNM)에 소홀했었네요. 인도와 베트남은 충분히 30년 이상을 볼 때 충분히 성장이 가능하다고 봅니다. 인도는 신분제가 아직도 남아있다는 안타까운 현실이지만 어쨋던 경제활동을 할 수 있는 인구가 어마어마하게 성장하는 모습을 보면 감탄이 절로 나옵니다.

출처 : 위키피디아

인구분포가 어떻게...저렇게...정말 젊은사람 비율이 어마어마합니다.

50세 이하가 81.7%

30세 이하가 54.7%가 나오네요.

하지만 간과하면 안 되는 사실이 하나 있어요.

국가만 성장을 할 것인가 아니면 국가와 국민이 모두 성장하는 것인가를 보셔야 해요.

1인당 GDP는 매년 7~8%가 상승하는데 국민의 임금상승은 3~4%라면 좀 문제가 있죠. 중국의 예와 같습니다.

국가가 엄청난 성장을 하고 이제 성장률이 꺽이는 시점에서 국민들 소득은 그 성장률을 따라 오지 못 했다면 사회적 경제적 불균형이 발생하게 되요. 돌리기 힘든 문제가 생기는 겁니다. GDP성장이 없는데 임금이 무지막지하게 상승한다면 국가가 흔들리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으니까요.

출처 :  https://images.app.goo.gl/JjedgqxDCn5oSJjv8

이야기가 잠시 샜어요....ㅎㅎㅎㅎ

미국ETF는 벌써 10,000달러를 돌파했네요. 와우!!!

올해 안에 20,000불을 목표로 하고 연말이 지나면 목표를 달성했나 안했나 볼 수 있겠죠.

요기서 부터는 금액이 크지는 않은데 앞으로 많이 넣고 싶은데..총알이..부족하다니..아니 내가...총알이 부족하다니...

항서제약이 엄청 올랐습니다? ㅎㅎㅎ 따부루따부루~~~

루이비통(LVMH)도 더 오르기전에 10주는 담아야 겠어요!!

명품브랜드는 제 사견입니다만 결국 사회는 양갈래로 갈꺼에요. 부익부 빈익빈~ 요고는 자본주의가 지속되던 신자본주의가 오던 어쨋던 돈이 중요한 시대에선 절대로 사라질 수 없어요. 부자들이 봐줄리가 없습니다. 빈을 외치기 전에 스스로가 부를 위해 노력해야 해요. 부자도 노력해서 됐어요. 기업가든 투자가던 상속도 노력입니다.

부자가 10억이 100억이 될 때 월급쟁이는 1억에서 10억 모으기가 힘들어요. 투자 파이프라인의 수가 다르기 때문에 어쩔 수 없습니다. 10개 중에 득템할 확률과 100개중에 득템할 확률은 다르죠.

어찌되었던 돈이 내 미래를 바꾸는 것만 확실하다고 봅니다. 시간을 살 수 있는 유일무이한 수단이니까요.

또 이야기가 샜어요.

명품브랜드는 결국 살만한 사람들은 계속 사니까요. 가격이 30%를 뛰면 더 사려고 하죠.

제가 명품브랜드를 제작하는 기업을 좋아하고 모으고 싶은 이유입니다.

케링, 루이비통, 에르메스, 디올, 티파니 등등

출처 :  https://images.app.goo.gl/4sVCf6aJ5QBimjYv6 ​

유치원생 가방 같지만 루이비통은 루이비통인가 봅니다.

레노버는 노트북계에선 HP와 델이 1인자 2인자라면 3인자이지만 가격대가 상당히 좋죠. 가성비 갑이라는 거지요.

다임러도 마찬가지입니다. 벤츠는 BMW와 아우디보다 어쨋던 인지도가 더 좋은 것임에 틀림없어 보이는 거라서 매수를 했구요. 물론 아직은 몇 주 안되지만...

출처 :  https://images.app.goo.gl/hgnJA1ECJwpwuP727 ​

 

저 삼각별이 모든 걸 말해주지요.

이렇게 또 이야기가 길어 졌네요.

5월의 흔적이 온라인에도 남게 되었습니다.

여러분 모두 시간을 살 수 있는 여러분이 되었음 합니다~~~

300x25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