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는 한국을 대표하는 IT기업으로 경쟁자로는 네이버(NAVER)가 있습니다. 저는 네이버가 조금 더 좋아 보이네요. 네이버는 주력이 검색 사이트와 블로그, 카페 문화, 쇼핑이라면 카카오는 카카오톡, 카카오 택시, 카카오프렌즈, 카카오 게임즈 같은 기업들을 가지고 있지요.
2021년 2월 현재 네이버는 시가총액이 약 62조원이고 카카오는 약 43조입니다. 두 기업이 어느새 현대차, 삼성바이오로직스, 삼성SDI, 셀트리온과 함께 어깨를 맞대는 급이 되었습니다. 검색사이트로만 생각했던 네이버와 카카오톡으로만 생각했던 카카오들의 시대들이 펼쳐지고 있네요. 방심하던 사이 이들의 성장은 계속 진행되고 있습니다.
네이버 증권
카카오의 실적을 살펴보도록 해요.
꾸준하게 매출이 성장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네요. 2020년 결산 실적이 공개되었는데 또 한 번 새로운 매출 신기록을 세우며 영업이익과 순이익도 새로운 기록을 달성했습니다.
2020년 결산 실적(카카오)
매출 4조 1,567억원
영업이익 4,560억 원
당기 순이익 1,671억 원
정말 놀라운 실적입니다. 그에 못지않게 네이버도 영업이익과 순이익 부분에서 신기록을 달성했습니다. 2020년 결산 실적을 살펴봐요~
2020년 결산 실적(네이버)
매출 5조 3,041억 원
영업이익 1조 2,153억 원
당기 순이익 8,362억 원
카카오보다는 훨씬 큰 규모의 회사인 만큼 실적 또한 급이 다르네요.
네이버 증권
실적도 실적인 만큼 주가도 엄청나게 많이 올랐습니다. 제가 주식을 시작하던 2018년 카카오는 10만 원 언저리에서 움직였고 그 당시에 카카오는 정말 주식이 움직이질 않는다라고 했는데 지금 와서 차트를 보니 그랬었네요. 그러다 2019년 중반으로 가면서 슬슬 달리기 시작해서 현재의 50만 원 정도가 되었습니다. 그 당시 샀다가 팔았던 게 조금은 후회가 되기도 합니다.
역시 사람은 시간이 지나 봐야 뭐든 아는 거 같아요. 항상 후회할 걸 알면서도 그러기도 하며 몰라서도 후회하기를 하죠. 그러나 사람은 쉽게 변하지 않는다는 거지요. 이제는 변하는 사람이 되어야 할 것 같습니다. 기존의 삶을 180도 뒤집어서 살아보는 것도 이번 생에서 해 볼만한 일인 거 같네요.
네이버 증권
카카오를 알아보면서 결국은 다음이 아닌 네이버 증권에서 각종 정보를 찾아보고 있는 나를 바라보면 네이버가 좋은 회사긴 하구나 싶습니다. 구글 검색도 많이 하지만 국내에서 일어나는 일들과 각종 정보는 결국 네이버를 이용하거든요. 정보가 훨씬 실생활과 밀접해 있다고나 할까요? 전문 지식이나 깊은 이야기들은 구글에서 많은 정보를 얻지만 맛집, 쇼핑, 부동산, 증권 정보 등등 네이버가 훨씬 더 우월합니다.
카카오 액면 분할 이야기하다가 이까지 와버렸습니다.
카카오 액면 분할은 결국 삼성전자의 길을 반복하듯 실적에 기반해서 더 많은 주주로 하여금 이런 기업이 있소이다를 외치며 주가가 올라갈 것 같아요. 기대감으로만 올라가는 그런 기업이 아닌 실적 기반이 되는 그런 기업으로 많은 주주에게 사랑받는 기업이 되었으면 합니다. 세계로 뻗어나가는 그런 기업이 되어야 하는데 아직까지는 많은 부분들이 부족해 보이네요. 빨리빨리 성장해서 월트 디즈니에 버금가는 그런 캐릭터 구즈 사업도 하고 워너브라더스에 버금가는 그런 영화 기획사도 하고 신한은행에 버금가는 그런 금융사업도 하고요. 다양한 곳에서 카카오가 유명해지길 또 한 번 바래 봅니다.
여러분들은 위스키(Whiskey)를 좋아하시나요? 한국에선 양주라고 통상 부르는 그 술 말이에요.
조니워커(Johnnie walker), 발렌타인(Ballentine), 시바스 리갈(Chivas Regal), 윈저(Winsor), 로얄샬루트(Royal Salute), 글렌피딕(Glenfiddich) 중에서 오늘의 주제가 될 술은 바로 조니워커와 윈저입니다. 이 술을 만드는 기업은 디아지오(Diageo, DGE)로 영국에 본사를 두고 있습니다. 그리고 발렌타인, 시바스 리갈, 로얄 샬루트는 프랑스의 페르노리카(Pernod-ricard)라는 기업이 만들고요. 두 기업 모두 훌륭한 회사이나 오늘은 디아지오를 간단히 살펴볼 거예요.
디아지오는 우리에게 익숙한 술인 조니워커, 윈저, 기네스 맥주(Guinness Beer), 베일리즈(Baileys), 스미노프(Smirnoff), 제이엔비(J&B) 같은 술 브랜드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런 술은 경제의 호황과 불황을 넘나들며 사람들에게 사랑받고 있어요. 기뻐도 술 슬퍼도 술 그냥 술 해장술 등등 술은 사람들에게 없어선 안될 존재가 된 지 아주 오랜 시간이 흘렀습니다. 이런 주류회사와 담배회사는 죄악주로 불리고 있지만 투자자에겐 아주 훌륭하고 좋은 회사입니다. 저도 담배회사, 주류회사를 너무 좋아합니다.
Diageo
저 라인업이 보이시나요? 정말 병이 예쁜 것 같군요. 저는 술을 마시지 않습니다만 보는 건 좋아합니다. 언젠가 집이 생기게 되면 예쁜 술들을 꼭 집에 장식해 보고 싶네요. 미니멀리즘에 위배되는 행동이지만 좋아한다면 해야겠죠? 돈으로부터 자유로워질 때 그때가 되겠습니다.
디아지오의 주가와 실적 그리고 배당금도 살펴보도록 해요.
주가가 정말 부들부들하게 올라가네요. 현재는 고점에서 조금 조정 중인 듯합니다. 매수의 신호일까요? 저는 그렇다고 봅니다. 술이라는 게 없어지진 않을 것 같고 명품 패션 브랜드처럼 시간이 가면 갈수록 브랜드 가치는 계속 올라가니까요. 이게 키 포인트 아주 중요합니다.
20년 아니 30년 뒤에는 10배 이상 오르리라 믿고 투자하고 있습니다.
인베스팅닷컴
디아지오의 실적은 꾸준한 상승을 보이다 살짝 주저앉은 느낌입니다. 그런데 뭐 한 해 정도는 뭐 그냥 넘어가는 거지요. 길게 보고 가는 거니까요. 그래도 돈은 잘 벌고 있으면 절대 파는 거 아니라고 배웠습니다. 많이 당했거든요.
영업이익률은 보통 30%대를 기록하고 있고 2020년은 절반으로 내려왔습니다. 그런데 술 팔아서 버는 것 치고는 매출도 그렇고 이익도 높지 않나요? 국내로 치면 거의 최상위권의 영업이익입니다. 여기 화폐 단위가 유로다 보니 1350원을 곱해야 하니까 적지 않은 매출과 이익이죠.
인베스팅닷컴
배당금은 완벽한 모습을 가지고 있습니다. 2021년은 아직 배당금이 전부 지급되지 않았기 때문에 절반 정도로 보이는 것뿐입니다. 그리고 디아지오는 참고로 1년에 2번 배당금을 지급하며 4월과 10월입니다. 보통 2%대 배당금을 지급하기 때문에 결코 배당금도 나쁘지 않지요.
자체제작
오늘은 디아지오라는 주류회사를 간단히 살펴보았습니다. 특별한 건 없지만 정말 브랜드 가치가 높은 술을 만들고 팔 수 있는 권한이 있는 회사이고 시간이 흐르면 흐를수록 더욱더 명품기업이 되는 거 아니겠어요? 에르메스, 루이비통, 구찌 같은 그런 명품 브랜드이니까 분명 시간이 기업을 더 유명하게 해 주리라 믿어봅니다.
오늘 12월 10일 드디어 에어비앤비(ABNB)가 나스닥에 상장되었어요. 티커도 에이비앤비 정말 잘 지었고요.
오늘 첫날 시가는 68달러였는데 현재 두배 이상올라서 150달러는 코 앞에 두고 있습니다. ㅎㅎ 장난 아니네요. 미국은 상한가가 없으니까요.
저도 에어비앤비를 사용하지만 정말 괜찮은 듯 해요. 국내에서도 활용도가 높고 특히 해외도 그렇고요. 국내에서 자가 격리시설로 이용해 봤는데 만족스러웠습니다.
https://images.app.goo.gl/8H3Hptxmt3Uf2nKu6
2019년 기준 매출은 약 5조원에 달하고 영업이익은 5천 5백 정도 적자입니다. 판관비가 생각보다 많이 드나봐요. 이해는 잘 안가지만 아직은 알 수 없는 것 같아요. 호텔과 리조트 문화와 가정집 분위기 문화에서 공존인가 혹은 누군가의 패배인지는 지켜봐야 겠어요.
야후파이낸스
저는 공존이라고 생각해 봅니다. 그때 그때 상황에 맞는 각각의 활용도가 있을 것 같아요.
현재 시가총액은 약 110조원으로 2019년 매출기준 약 25배의 주가로 형성되어 상당히 비싸다고 볼 수 있겠네요. 물론 미래를 반영하지는 않았어요. 일단 흑자로 돌아서는 것을 봐야 판단이 설 듯합니다. 올해 실적 흑자 5천억이라고 보고 매년 15%의 성장률로 20년동안 성장한다면 순이익 8조 2천억원으로 현재 시가총액 기준으로 13.5배니까 지금 매수하여 15%의 성장률로 첫 해부터 약 15년은 흘러야 본전이겠군요. ㅋㅋㅋ 물론 저의 단순 계산입니다만 현재는 비싸다고 말씀드리고 싶네요.
오늘은 삼성전자의 주가를 살펴보려고 해요. 실적도 전 분기 대비 서프라이즈가 나오면서 주가도 다시 꿈틀꿈틀 오르기 시작하네요. 과연 7만 원 대에 다가갈 것인가 아니면 다시 5만 원 대로 내려갈 것인가 기대가 되는데요.
출처 : https://images.app.goo.gl/mUwJe1hJZyo2PxpT8
2020년 초에 62,800원을 찍고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해 4만 원 대까지 내려갔다가 다시 6만 원을 넘어섰어요. 마침 실적도 잘 나와 줬고요. 이 실적과 함께 주가의 점프를 기대해 봅니다. 아직 삼성전자를 매수해도 주당 배당금은 1,416원으로 시가 배당률 2.33%이고 나쁘지 않은 수치네요.
삼성전자우도 마찬가지로 2018년 10월 13일 53,500원을 찍고 하락했다가 현재 전 고점에서 100원 모자란 곳까지 달려왔습니다. 삼성전자와 함께 실적의 빌려 6만 원을 돌파할 수 있을지 기대를 해 봐요. 우선주의 시가 배당률은 2.65%로 기술주치고 넉넉한 배당금을 지급해 줍니다. 짧은 미래가 아닌 먼 미래를 내다보고 투자를 해도 크게 문제는 없을 것 같아요. 새로운 사업을 개척하려면 반드시 돈이 필요한데 삼성보다 많은 투자금을 당길 수 있는 기업도 우리나라에선 없다고 봐야 하니까요.
3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이 2분기 대비 각각 24.60%, 50.92% 증가하면서 엄청난 어닝 서프라이즈를 보여주는데요. 올해는 매출 235조, 영업이익 37조를 달성해 줬으면 하는 바람을 가져 봅니다. 삼성전자의 반도체 파운드리 공장 확장은 10년 뒤 혹은 20년 뒤 삼성전자의 크나큰 성장의 밑거름이 되어 줄 테니까요. 아날로그 형태의 가전제품, 자동차, 생활용품들이 디지털화되어가기 때문에 반도체의 수요는 어쩔 수 없이 늘어갈 것이고 삼성SDI의 성장으로 인한 삼성전자의 실적 상승을 기대한다면 꼭 삼성전자에 투자를 꾸준히 하는 것이 주식의 수익률을 올리는 데 도움이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 모든 기업은 정규 분포 안에 가장 많이 분포해 있다. 삼성전자도 마찬가지로 그러한 기업들 중 하나일 뿐이다.
즉, 각자 시장에 참여한 사람들의 공급과 수요 안에서 움직인 다는 말! 비싸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팔고 반면에 싸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산다.
2020년 1분기 실적
삼성전자의 각 사업 부문별 1분기 매출을 살펴보면 2019년 4분기와 비교하면 IM 부문의 4% 상승을 제외하면 전체 실적은 하락한 상태이다. 영업이익 또한 하만을 제외하고 크게 상승한 부문이 없다. 아직 삼성전자에게 매출액과 영업이익을 증가시켜 줄 만한 사업 부문이 마땅치가 않다.
휴대폰 시장과 반도체 시장에서 크게 뛰어날 만한 실적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는 이야기이다. 폴더블폰을 선보이고 있고 전 세계에서 팔리기 시작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눈에 띄는 실적으로 나타나진 않고 있다. 더군다나 가전제품 분야는 삼성전자의 주력 산업에 해당하지 못할뿐더러 큰 실적 상승을 만들어 내는 것은 쉽지 않다. 삼성전자에게 반도체와 휴대폰이 가장 많은 돈을 벌어들이는 주 사업 부문이기 때문이다. 아직 삼성전자는 소프트웨어보단 하드웨어로 시장을 끌어가고 있다. 소프트웨어로 가지 않고 과연 얼마나 성장을 이룰 수 있을지 의문이 든다.
출처 : https://images.app.goo.gl/nwHgUH9AhS2xK26K7
인공지능 시장을 조금이라도 선점해서 독보적인 자리에 놓이면 엄청난 실적 점프가 예상되는데 인공지능은 결국 소프트웨어 싸움으로 시작하여 끝날 것이다.
출처 : 삼성전자
삼성전자의 주가가 10만 원을 넘기 위해 기대감이 아닌 오직 실적만으로 달성하기 위한 매출, 영업이익 & 순이익이 얼마 정도 벌어야 하는지를 그래프로 나타내 보았다. 참고로 PER 17.16배(2020년 6월 19일 기준)
2020년부터 매출, 영업이익 & 순이익이 10%씩 성장한다고 했을 때 2030년 예상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대략 650조, 80조에 달한다.
그렇게 되면 삼성전자의 예상 배당금과 주가는 각각 4,000원과 160,000원이다. 하지만 오늘의 주제는 삼성전자의 주가가 100,000원을 달성하기 위한 시점의 매출액, 영업이익 & 순이익이니까 2026년에 100,000원을 넘을 것이라는 예측을 할 수 있는데 이때의 매출액, 영업이익 & 순이익을 살펴보자.
매출액 449조
영업이익 54조
순이익 42조
2017년과 2018년처럼 반도체 가격이 엄청난 상승이 발생한다면 다시 한번 100,000원까지 가리라 기대해볼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물론 반도체와 모바일 시장을 이끄는 기업들은 많은 이슈와 실적에 대한 기대감과 실망감을 이끌고 다니기 때문에 안정적인 100,000원을 달성하기 위해선 500조 이상의 매출, 60조 이상의 영업이익 & 45조 이상의 순이익이 발생한다면 100,000원대 이상에서 주가가 움직이는 모습을 상상해 볼 수 있을 듯하다.
현재 주가
6월 19일 종가 기준 주가는 52,900원이다. 이 주가도 2018년 초부터 현재까지 40,000원에서 60,000원 사이에서 왔다 갔다 한다. 내 기준에서 주가가 상승하기 위해서 기대감을 제외하고 3년에서 5년간은 과거 실적 대비 상승한 실적이 유지가 되지 않는다면 결코 주가가 올라가는 것이 쉽지 않다. 위에서 말한 실적이 나오면 가능하리라 예상해본다.
물론 주가를 예측하는 건 크게 의미 없지만 기업의 가격은 가치가 장기적으로 상승해야만 가능하다고 본다. 단기적인 가치 상승은 즉 단기 적은 주가 부양에 그친다는 말이다.
출처 : https://finance.naver.com/
예상 배당금
배당금 또한 마찬가지로 삼성전자는 대체로 40% 이하에서 배당금을 유지하는 편이다. 현재의 상황을 고려하면 실적이 증가하지 않는다면 배당금이 한 번 상승은 할 수 있지만 꾸준한 상승도 힘들어진다. 물론 기업이 영업으로 쌓인 이익잉여금이 쌓여있지만 실적이 동반하지 않는 배당금 상승은 이 또한 단기적으로 상승할 뿐이다.
삼성전자와 장기적으로 함께 가고자 하는 주주로서 실적이 동반되지 않는 주가 배당금 상승은 어차피 기업의 현금이 유출되는 것이기 때문에 주식의 가치를 고려하면 배당금 증가는 크게 없다는 말이기도 하다.
결론
삼성전자가 매년 새로운 사업(비 메모리)과 기존 사업(메모리, 이미지센서, 휴대폰)의 확장을 위하여 투자를 하고 있고 실적이 크게 저하되거나 시장에서 점유율이 하락하는 모습을 보여주지 않기 때문에 계속 보유 중이고 미래의 먹거리에 충분히 앞장서서 나가고 있다. 그래서 앞으로도 충분히 상승의 여지는 있다고 생각하고 현재 보유한 주식도 팔 예정은 없고 앞으로도 추가 매수 예정이다.
Note : 위 내용은 개인적인 의견에 불과하니 투자 여부 결정이 있어서 오직 참고만 했으면 하는 바람이 있어요.
아래 표는 신한지주의 2004년부터 2019년까지 배당금과 시가배당률 추이를 그려봤는데 역시 2008년 금융위기는 못 피했네요.
하지만 위기 때 무조건 돈을 풀지 않고 위기가 정리되어 간다 싶을 때 바로 배당금을 지급하면서 현재까지 상승추세를 그려오고 있어요!!
이게 위기관리능력이지 않을까요? 무조건 배당금이 상승하는 게 좋은 것만은 아니죠. 어느 기업이나 배당금을 상승시키고 싶겠죠. 왜냐면 이사회에서 결정하는 배당금이 결국 주주가 결정하는데 그 사람들도 배당금을 더 받고 싶으니까요. 하지만 기업이 재정적인 문제에 봉착하기를 원치는 않겠지 말입니다.
그래서 배당금을 적정한 선에서 위기 대 견딜 만큼은 항상 남겨 둬야겠지요.
현재 배당률은 과거 평균 2.5%에서 많이 상승해서 현재 6% 시가배당률을 기록하고 있지요..
결론 : 은행의 먼 미래에 대한 성장성과 미래 새로운 밥줄이 해결되었다는 소식이 없는 한 주가는 크게 반등하거나 하지는 않아 보이네요. 단지 향후 긴 시간 동안 배당금은 큰 위기가 오지 않는 한 지급하겠다는 생각은 확실해 보입니다.
즉, 따박따박 들어오는 현금을 중요하게 여기시는 분들은 주의 깊게 보셔도 괜찮다고 봅니다.